DSR계산기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

💳 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 계산기

참고용으로 우선 활용하세요. 정확한 평가는 해당 금융기관에 문의가 필요합니다.


DSR계산기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
✅ 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란?

DSR계산기는 차주의 DSR 비율을 간단히 계산합니다.

DSR(Debt Service Ratio)차주(대출자)의 연 소득 대비 연간 모든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합니다.
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대출 심사 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.

✅ DSR계산기 적용 공식

DSR (%) = (연간 총 부채 원리금 상환액 / 연간 소득) × 100

  • 연간 총 부채 원리금 상환액:
  • 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, 전세자금대출, 학자금대출, 자동차할부, 카드론 등 모든 금융부채의 연간 상환금 합계
  • 연간 소득:
  •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임대소득 등 합산한 연간 총소득

✅ DSR 예시

항목금액 (원)
월 주택담보대출 원리금800,000
월 신용대출 상환액300,000
연간 원리금 합계13,200,000 ( = (80+30)*12 )
연 소득40,000,000
DSR 계산(13,200,000 / 40,000,000) × 100 = 33.0%

✅ 규제 기준 (2024년 기준 참고용)

구분DSR 상한
투기지역/투기과열지구 내 6억 초과 주택 구매 시40% 이하
총 대출액 1억 초과 차주40% 이하
다주택자/고소득자 등 특수 조건 차주더 엄격할 수 있음

🏠 2025년 6월 부동산 정책 주요 내용

1. 주담대 총액 및 LTV 제한

  •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으로 제한 (수도권·규제 지역 동일 적용)
  • 다주택자 주담대 전면 금지1주택자 추가 주택 대출 시 기존 주택 6개월 내 처분 의무, 전입 의무도 6개월 내 내야 함
  • 전세대출 보증비율 90% → 80% (7월 21일부터)

2. 대출 규제 강화

  • 정책대출 한도 축소 (디딤돌·보금자리론 등 하향 조정)
  • 신용대출 한도 연소득 이내로 제한

3. 만기 제한 및 기타 조치

  • 주담대 만기 최대 30년 제한 (기존 40~50년 → 30년)
  • 잔금 목적 전세대출 금지 (갭투자 방지 조치)

📊 DSR 기준 및 스트레스 DSR

기본 DSR

  • 총부채 상환액(연간 원리금)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
  • 일반 기준 DSR 40% 이하 유지 권장

스트레스 DSR 3단계 (2025년 7월 1일 시행 예정)

  • 스트레스 금리(1.5%) 추가 반영 → 대출 한도 더 감소
  • 모든 가계대출에 스트레스 금리 적용 (주담대, 신용대출, 기타대출 포함)
  • 수도권 적용 시 DSR산정 시 금리 +1.5%, 지방 주담대는 연말까지 +0.75%
  • DSR 2단계 대비 대출 한도 3,300~12,000만 원 축소 사례 발생

✅ 요약

항목세부 내용
주담대 한도6억 원 상한
다주택자주담대 금지, 전입·처분 의무 강화
전세대출보증비율 90→80%
만기 제한주담대 30년 이하
신용대출연소득 이내로 한도 제한
스트레스 DSR 3단계금리 +1.5% 반영, 모든 대출 확대 적용

📝 시사점

  • 부동산 대출 여건이 크게 강화됨에 따라 DSR 계산기 활용 및 사전 시뮬레이션이 필수
  • 특히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를 고려해 대출 계획을 세워야 함
  • 대출 실행 시기도 중요: 6월 말까지 실행하면 2단계 기준 적용 가능